본문 바로가기

교육 · 자격 · 취업준비

(3)
임상시험 취업 준비 A to Z – 신입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 임상시험은 신약 및 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필수 단계이며, 그만큼 관련 분야의 인력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CRC(Clinical Research Coordinator), CRA(Clinical Research Associate), QA(Quality Assurance) 등 실무 중심 직무는 신입도 도전할 수 있는 진입 가능성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취업을 위해 갖춰야 할 조건과 실무 이해도는 결코 가볍지 않기에,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임상시험 분야 취업을 위한 A to Z를 정리해 드립니다. 1. 임상시험 실무자란? – 주요 직무 소개신입 실무자가 처음 도전하게 되는 대표적인 직무는 다음과 같습니다.CRC(임상시험코디네이터): 병원에서 연구자(주로 교수)를 도와 임상시험 진행을 ..
임상시험 실무자 자격증 종류와 취득 팁 임상시험 분야는 점점 전문성이 강조되는 영역입니다. 그에 따라 채용 시장에서도 단순 GCP 교육 이수뿐 아니라, 공식 자격증 보유 여부가 중요한 평가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임상시험 실무자가 취득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격증(자격인증) 종류와 시험 준비 팁, 업계에서의 활용도까지 실무자 관점에서 정리해드립니다.'자격증'인가, '자격인증'인가?임상시험 실무에서 흔히 말하는 '자격증'은 사실 법적 자격이 아닌, 교육 이수에 따른 자격인증(Certification)인 경우가 많습니다. 구분 자격증 (License/Qualification) 자격인증 (Certification) 법적 효력국가 자격, 법적 효력 있음 (ex. 간호사, 약사)민간 교육 이수 후 수료 또는 인증서 부여규제 여부법으로 정한 ..
GCP 교육, 어디서 받고 어떻게 증빙할까? – 실무자용 안내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연구자와 스태프는 반드시 GCP(Good Clinical Practice, 임상시험 관리기준)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GCP는 임상시험 수행 시 준수해야 할 국제적 윤리 및 과학적 기준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규정과 각 병원의 IRB(임상시험심사위원회) 규정에 따라 교육 이수가 법적으로 요구됩니다. 그러나 교육을 어디서 어떻게 받아야 하는지, 이수 증빙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GCP 교육의 법적 근거, 공식 교육기관, 증빙 방법, 자주 묻는 질문 등을 정리해드립니다.GCP 교육이란? GCP는 임상시험 수행 시 반드시 따라야 할 국제 기준이며, 우리나라에서는 KGCP(한국형 GCP)로 법령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 교육 이수 법적 근거:「의약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