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시험 실무를 처음 접하면 “SMO 소속 CRC”라는 표현을 종종 들을 수 있습니다.
병원에 근무하면서도 병원 소속이 아닌 경우가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 글에서는 SMO의 개념, 병원과의 관계, 파견 CRC의 구조와 현실을 실무 기반으로 정리합니다.
SMO란 무엇인가?
SMO(Site Management Organization)는 병원 등 임상시험 실시기관을 대상으로 임상시험 운영 인력을 파견하거나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 시험자(병원)의 업무를 위임받아 CRC 등을 지원함
- 병원이 인건비·인사관리 부담 없이 임상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구조
- 국내 법령상 용어는 아니며, 실무상 통용되는 개념입니다
참고: SMO는 병원 외부 기관이며, 병원 내 CRC라 하더라도 실제 소속은 SMO인 경우가 많습니다.
SMO와 병원의 관계
병원과 SMO는 통상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약을 체결합니다:
- 병원 ↔ SMO 간 인력 파견 계약 또는 업무대행 계약 체결
- 연구 책임자(PI)가 직접 SMO 소속 CRC의 업무 범위를 지정하고 위임
- GCP 기준상 책임은 여전히 PI와 병원에 있음
SMO는 자체적으로 PI를 둘 수 없고, 연구의 과학적·윤리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대신 CRC 파견, 교육, 문서 관리 등을 실무 중심으로 지원합니다.
CRC가 SMO 소속일 때의 구조
항목내용
근무지 | 병원 IRB실, 시험실, 센터 등 실제 현장 |
소속 | SMO(외부 기관) 소속 직원 |
실질 업무 지시 | 병원 연구자(PI), 임상시험센터 실장 등 |
고용계약 | SMO에서 급여 지급, 근무 평가도 해당 기관 주도 |
파견 CRC는 병원 직원과 동일하게 근무하지만, 채용, 평가, 복리후생 등은 SMO 기준에 따릅니다.
SMO의 주요 서비스 항목
- CRC 인력 파견: 경험자 또는 신입 CRC를 병원에 배치
- 문서 관리 대행: 시험책임자 서명 유도, IRB 보고 준비 등 실무 수행
- 임상시험 교육: 병원 연구팀 교육 보조, GCP 교육 이력 관리
- 모니터링 일정 조율: CRA 방문 대응 스케줄 관리
국내 SMO 리스트와 병원별 파견 비율이 궁금하신가요? 최근 3개년 병원별 인력 현황이 정리된 자료가 있습니다. 참고해보셔도 좋겠습니다.
SMO CRC의 현실 – 장점과 한계
항목 | 장점 | 주의사항 |
경력 초기 진입 | 병원 CRC로 첫 커리어 시작 가능 | 병원 전환 채용 기회는 제한적 |
실무 경험 | 다양한 과제 경험으로 역량 확대 | 파견 기간 종료 후 고용 불안정성 있음 |
교육 기회 | SMO 자체 교육 제공 | 병원 내직원에 비해 복지 차이 존재 |
CRC 커뮤니티나 입문자 모임에서는 “병원 정직원 전환 가능성”이 자주 언급되지만, 실제로는 일부 병원만 해당 기회를 제공하며, 대부분은 계약 종료 후 퇴사하는 구조입니다.
실무자 입장에서 SMO 활용 시 고려사항
- 파견 비율이 높은 병원일수록 CRC 인력 수급은 유연하지만, 팀 소속감 형성에는 한계
- 병원과 SMO 간의 소통 방식, CRC의 역할 명확성, 과제별 업무분담 기준 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 SMO 소속 CRC라도 병원 교육, 보안, IRB 규정은 모두 따라야 함
SMO CRC 신입의 첫 3개월 루틴이 궁금하신가요? 다음 글에서 신입 입장에서의 실제 루틴을 다룰 예정입니다.
결론 – SMO는 병원과 CRC 사이의 실무 연결고리입니다
SMO는 병원과 연구자에게 실무 인력을 공급하고, 입문자에게는 첫 임상 커리어를 시작할 수 있는 진입 경로를 제공합니다. 다만 직접고용과는 다른 구조임을 충분히 이해하고, 근무 환경, 커리어 연속성, 병원과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실질적인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참고 링크:
- 식약처 임상시험 관리기준 고시: https://www.mfds.go.kr
-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 SMO 세부자료: https://www.konect.or.kr
- 병원별 채용공고 참고: https://www.jobkorea.co.kr, https://www.saramin.co.kr
'직무 · 커리어 관리 및 자격 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무별 연봉과 커리어 로드맵 – 실무자의 현실적 조언 (2025년 기준) (0) | 2025.04.27 |
---|---|
의뢰자(제약사) vs 시험자(병원)의 입장 차이 이해하기 (2025년 기준) (0) | 2025.04.26 |
CRA vs CRC – 누가 뭐 하는 사람인가요? (2025년 기준) (0) | 2025.04.25 |
CRC(임상시험코디네이터) 업무 하루 루틴 (0) | 2025.04.25 |
CRO란? – 의뢰자 지원 전문기관의 역할과 구성 (2025년 기준) (0) | 2025.04.24 |
임상시험 취업 준비 A to Z – 신입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 (0) | 2025.04.11 |
임상시험 실무자 자격증 종류와 취득 방법과 참고 사항 (0) | 2025.04.10 |
GCP 교육, 어디서 받고 어떻게 증빙할까? – 실무자용 안내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