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시험 업계에 입문하려는 예비 실무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 중 하나는 "연봉은 얼마나 되나요?" 그리고 "이 일을 오래 하면 어떤 커리어가 가능한가요?"입니다.
이 글에서는 CRC, CRA, RA, PM 등 임상시험 핵심 직무를 중심으로 연봉 범위, 경력에 따른 변화, 커리어 이동 가능성을 실제 사례 기반으로 정리합니다.
주요 직무별 연봉(2025년 기준)
직무 | 신입 연봉 (1~2년) | 중견 (3~7년) | 경력자 (8년 이상) |
CRC (병원 소속) | 2,800만 ~ 3,400만 원 | 3,500만 ~ 4,500만 원 | 4,800만 ~ 6,000만 원 |
CRC (SMO 소속) | 2,600만 ~ 3,200만 원 | 3,200만 ~ 4,200만 원 | 4,500만 ~ 5,500만 원 |
CRA (CRO 소속) | 3,200만 ~ 3,800만 원 | 4,000만 ~ 6,000만 원 | 6,500만 ~ 8,000만 원 |
RA (Regulatory Affairs) | 3,200만 ~ 4,000만 원 | 4,500만 ~ 6,500만 원 | 7,000만 원 이상 |
PM (Project Manager) | 4,500만 ~ 5,500만 원 | 6,000만 ~ 8,000만 원 | 8,500만 원 이상 |
※ 참고: 기업 규모, 병원 등급, 다국적 CRO 여부에 따라 차이 있음
국내 10개 CRO 연봉 비교표가 궁금하신가요? 평균값과 복리후생까지 정리된 문서를 참고해보셔도 좋습니다.
직무별 커리어 로드맵 요약
직무 | 경력 흐름 예시 |
CRC | CRC → 선임 CRC → 병원 CRA 또는 QA / 학회 활동 병행 가능 |
CRA | CRA → 시니어 CRA → PM 또는 QA / RA 직무 이동 가능 |
RA | RA → RA 매니저 → RA Director / 허가컨설팅 프리랜서 가능 |
PM | CRA/RA 출신이 진입 → PM → 글로벌 PM 또는 전략기획 이동 |
CRA와 PM은 다국적 CRO 또는 제약사로의 이동이 활발하며, CRC는 병원 내 연구간호사 또는 센터 팀장 등으로 승진 가능성 존재
연차별 성과와 역할 변화
- 1~2년차: 기본 문서관리, 교육 수료, 대상자 응대 중심
- 3~5년차: 과제 관리, CRA와 협업, 규정 이해도 향상
- 6년차 이상: 교육 담당, 신규 과제 셋업, 점검 대응 등 리더십 요구
임상시험은 경력에 따라 문서 처리보다 프로젝트 운영 및 판단 책임이 커지는 구조입니다.
이직과 커리어 확장의 전략
- GCP 교육 이수 외에도 ICH 가이드라인, MedDRA, eTMF 등 실무 기준 이해 필요
- 영어 능력은 CRA, PM, RA에서 특히 중요 (이메일, 문서 독해)
-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KoNECT), 한국CRO협회(KACRO) 등 관련 기관 네트워킹 활용 권장
실무 경력에 따른 커리어 이동 매트릭스가 궁금하신가요? 임상직무별 가능 경로를 정리한 시각 자료가 있습니다. 확인해보셔도 좋겠습니다.
현실적인 조언 – 단순 연봉보다 '커리어 가치'를 보세요
- 연봉만으로 직무 선택하지 않기: 2~3년 내 이직 시 경력·조직문화·트레이닝 수준이 더 중요
- 병원 CRC는 낮은 연봉이더라도 초기 실무 역량 습득에 유리
- CRA나 PM은 조직에 따라 워라밸 차이 크므로 사전 정보 확인 필요
정리하자면, 임상시험 업계의 연봉은 산업 평균보다 낮지 않지만, 초기 커리어 설계에 따라 커다란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참고 링크:
- 한국임상시험산업본부(KoNECT): https://www.konect.or.kr
- 한국CRO협회(KACRO): https://www.kacro.or.kr
- 병원 및 CRO 채용공고 확인: https://www.jobkorea.co.kr, https://www.saramin.co.kr
'직무 · 커리어 관리 및 자격 인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뢰자(제약사) vs 시험자(병원)의 입장 차이 이해하기 (2025년 기준) (0) | 2025.04.26 |
---|---|
CRA vs CRC – 누가 뭐 하는 사람인가요? (2025년 기준) (0) | 2025.04.25 |
CRC(임상시험코디네이터) 업무 하루 루틴 (0) | 2025.04.25 |
SMO란? – 병원 연구 지원기관과 파견 CRC의 현실 (2025년 기준) (0) | 2025.04.24 |
CRO란? – 의뢰자 지원 전문기관의 역할과 구성 (2025년 기준) (0) | 2025.04.24 |
임상시험 취업 준비 A to Z – 신입 실무자를 위한 가이드 (0) | 2025.04.11 |
임상시험 실무자 자격증 종류와 취득 방법과 참고 사항 (0) | 2025.04.10 |
GCP 교육, 어디서 받고 어떻게 증빙할까? – 실무자용 안내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