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시험 입문 가이드/GCP, ICH 핵심 개념

임상시험에서 ‘연구대상자 보호’는 왜 중요한가?

oasisromas 2025. 4. 6. 09:02

임상시험에서 ‘피험자 보호’는 왜 중요한가?

임상시험에서 ‘연구대상자 보호’는 왜 중요한가?

임상시험은 새로운 의약품이나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사람을 대상으로 검증하는 과정입니다.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고귀한 목적을 지닌 동시에, 그 과정에서 연구대상자의 생명, 건강, 권리가 위협받을 수 있기에 엄격한 윤리적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연구대상자 보호’가 왜 임상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인지, 법적·윤리적·사회적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 1. 생명윤리와 인간 존엄의 관점

임상시험은 본질적으로 연구대상자에게 신체적·정신적 위험을 수반할 수 있습니다. 특히 1상 시험처럼 신약의 안전성을 처음 확인하는 단계에선 예측 불가능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죠.

📌 “사람은 수단이 아닌 목적이다”
이는 뉘른베르크 강령(Nuremberg Code), 헬싱키 선언(Declaration of Helsinki) 등 국제 생명윤리 선언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는 핵심 가치입니다.

 

✅ 그래서 연구자는 항상 다음을 우선해야 합니다:

  • 위험 최소화
  • 자발적 참여
  • 불이익 없이 언제든 철회 가능

🛡️ 2. 법적·제도적 보호 장치

대한민국에서도 ‘연구대상자 보호’는 단순한 윤리 기준을 넘어 법률로 강제되는 의무사항입니다.
주요 법령은 다음과 같습니다:

법령 주요 내용
약사법 제34조 임상시험자는 대상자의 권리·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함
생명윤리법 자발적 동의, IRB 심의, 취약한 대상자 보호 등 의무화
의료법/의료기기법 인체 대상 시험의 윤리적 절차 규정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보호 절차가 법적으로 요구됩니다:

IRB(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
자발적 동의 절차(Informed Consent)
손해 발생 시 보상 절차
시험기관의 모니터링과 실사 체계


🤝 3. 사회적 신뢰와 임상시험의 지속 가능성

연구대상자 보호는 사회적 신뢰 확보와도 직결됩니다.
보호 조치가 미흡하거나 대상자 권리를 침해하는 사례가 발생하면:

  • 👉 연구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 👉 연구기관 이미지 실추
  • 👉 임상시험 전반에 대한 참여 기피

반대로, 철저한 보호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 효과를 가져옵니다:

참여자 모집 용이
데이터의 신뢰성 향상
국내외 규제기관으로부터 신뢰 확보
장기적인 연구 지속 가능성 확보


📌 4. 실무자가 꼭 기억해야 할 보호 원칙

임상시험 실무자라면 다음 4가지는 반드시 기억해야 합니다:

 

원칙 설명
✅ 위험 대비 이득 대상자에게 돌아갈 잠재적 이득이 위험보다 커야 함
✅ 자발적 동의 이해 가능한 설명, 충분한 숙고 시간 보장
✅ 중단 기준 명확화 예기치 못한 이상반응 시 즉각 대응 가능
✅ 취약한 대상자 보호 임산부, 미성년자 등은 추가 보호 조치 필요

 


🔍 용어 정리

🔍 연구대상자(Subject)
임상시험에 참여하는 사람. 과거에는 ‘피험자’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더 인권 친화적인 표현으로 ‘연구대상자’가 권장됩니다.

🔍 IRB(기관생명윤리위원회)
연구계획서가 윤리적·과학적 기준에 적합한지, 대상자 보호가 적절한지를 심의하는 독립 기구입니다.


✍️ 마무리하며

임상시험에서 연구대상자의 권리와 안전을 보호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전제 조건입니다.
그 어떤 의학적 진보도 인간의 존엄을 희생해서는 안 됩니다.

임상시험이 사회적으로 신뢰받는 연구가 되기 위해서는,
👉 매 순간 연구대상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삼는 태도가 필요합니다.